고려시대 때 사람들의 평균수명은 몇 살이었을까?

고려시대 사람들의 평균수명은 현대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고려시대 사람들이 모두 단명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당시 평균수명이 낮게 계산되는 이유와 고려시대 사람들의 건강과 생활 방식, 그리고 기록을 바탕으로 한 생존 연령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고려시대 평균수명의 추정

고려시대의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약 40세 정도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단순히 당시 사람들이 30~40세가 되면 모두 사망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평균수명이 낮게 계산되는 주된 이유는 높은 영아 사망률질병 및 전쟁 때문입니다.

  • 영아 사망률: 출생 후 5세 이전에 사망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습니다. 영아 사망률이 평균수명을 낮추는 가장 큰 요인이었습니다.
  • 전염병 및 의료 부족: 고려시대에는 한의학이 발전했지만, 현대의 의학과 비교하면 전염병에 대한 대응이 부족했습니다.
  • 전쟁과 기근: 고려는 거란, 여진, 몽골 등의 침략을 자주 받았으며, 이에 따른 전쟁 피해와 기근이 수명을 단축하는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2. 귀족과 일반인의 수명 차이

고려시대의 사회 계층에 따라 수명 차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왕족 및 귀족: 충분한 영양과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일반 백성보다 수명이 길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고려 왕들의 경우 평균 수명이 약 45~50세였으며, 일부 왕들은 60세를 넘긴 경우도 있었습니다.
  • 일반 백성: 농업을 주로 하는 백성들은 노동 강도가 높았고, 영양 부족과 질병에 쉽게 노출되어 평균 수명이 짧았습니다.

3. 고려시대 장수한 인물들

고려시대에 장수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왕실 인물

  • 고려 문종: 62세까지 생존 (1019-1083), 재위 기간 32년
  • 고려 현종: 65세까지 생존 (992-1031), 재위 기간 22년
  • 고려 숙종: 55세까지 생존 (1054-1105)
  • 고려 인종: 54세까지 생존 (1109-1146)
  • 고려 의종: 71세까지 생존 (1127-1173)

문신과 학자

  • 최충(崔冲): 약 85세까지 생존 (984-1068), 유명한 학자이자 9재 학당 설립자
  • 김부식: 약 77세까지 생존 (1075-1151), 삼국사기 편찬자
  • 정몽주: 55세까지 생존 (1337-1392), 유교학자이자 충신
  • 이제현: 약 73세까지 생존 (1287-1367), 학자이자 정치가
  • 이색: 약 76세까지 생존 (1328-1396), 고려 말 대학자

승려

  • 의천: 59세까지 생존 (1055-1101), 천태종 창시자, 왕자 출신 승려
  • 지눌: 약 63세까지 생존 (1158-1210), 수선사 결사 운동 주도
  • 일연: 약 83세까지 생존 (1206-1289), 삼국유사 편찬자

이러한 인물들의 장수 사례는 고려시대에도 적절한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 사람들, 특히 귀족과 지식인 계층은 상당히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물론 이들은 당시 사회에서 특권층에 속했으므로 일반 평민들의 평균 수명보다는 훨씬 길었을 것입니다.

4. 고려시대 건강 관리 방법

고려시대 사람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 한약과 약초: 당시 한의학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약재가 활용되었습니다.
  • 불교 및 명상: 고려는 불교 국가였기 때문에, 마음의 안정을 위해 불교 수행과 명상이 건강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음식과 식습관: 고려시대에는 쌀, 보리, 콩, 채소 등이 기본적인 식량이었으며, 고기를 즐겨 먹기도 했습니다.

Q&A

Q1. 고려시대 사람들은 정말 30~40세가 되면 모두 사망했나요?

고려시대(918-1392) 사람들이 모두 30~40세에 사망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이는 흔한 오해입니다.

당시 평균 수명은 현대보다 낮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50세, 60세, 심지어 70세 이상까지 살았습니다. 특히 귀족과 왕족들 중에는 장수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평균 수명이 낮게 계산된 주요 이유는:

  • 높은 영아 및 아동 사망률
  • 출산 중 여성 사망률
  • 전염병과 기근
  • 전쟁과 같은 사회적 혼란

왕족 기록을 보면 고려 왕들 중 상당수가 40세 이상까지 살았으며, 일부는 60세 이상까지 재위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려 현종은 65세까지 살았고, 문종은 62세까지 살았습니다.

평민들의 기록은 제한적이지만, 생존에 필요한 조건이 갖춰지면 중년 이상까지 사는 것이 드물지 않았습니다.

Q2. 고려시대에는 어떤 질병이 유행했나요?

고려시대에는 천연두, 홍역, 장티푸스 등 여러 전염병이 유행했습니다. 특히 고려 후기에는 몽골과의 전쟁 이후 전염병이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의학이 발달하지 않아 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평균수명이 낮아졌습니다.

Q3. 고려시대에도 100세 이상 장수한 사람이 있었나요?

기록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도 100세 이상을 살았다는 사람이 존재했지만, 매우 드문 사례였습니다. 고려 후기 문헌인 고려사에는 100세를 넘긴 장수한 인물에 대한 기록이 일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출생 기록이 정확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을 수도 있습니다.

Q4. 고려시대에는 어떤 음식이 건강에 좋다고 여겨졌나요?

고려시대에는 한방과 관련된 음식이 건강에 좋다고 여겨졌습니다.

  •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 닭과 인삼을 활용한 보양식이 존재했으며, 기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약초차: 쑥차, 생강차 등이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 해산물: 고려는 해양 국가였기 때문에 해산물을 적극적으로 섭취했으며, 이는 영양 보충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려시대의 평균수명은 오늘날보다 짧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일찍 사망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높은 영아 사망률이 평균수명을 낮추었으며, 사회 계층과 생활 환경에 따라 장수하는 사람들도 존재했습니다. 당시의 건강 관리법과 생활 방식을 통해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